콘텐츠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비즈엔터

[시사後] ‘덩케르크’ 밀실공포의 끝장, 사운드라는 괴물

[비즈엔터 정시우 기자]

(사진=워너브러더스코리아(주))
(사진=워너브러더스코리아(주))

크리스토퍼 놀란의 첫 실화 바탕영화. 역사적 사실이 그의 창의력과 상상력에 그림자를 드리울 것이라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적의 총알이 날아드는 덩케르크 ‘해안에서의 1주일’, 고향으로 영국군을 태워 갈 배 위 ‘바다에서의 1일’, 적의 전투기로부터 아군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은 조종사의 ‘하늘에서의 1시간’. 놀란은 하나의 사건을 세 가지 시간과 세 가진 공간으로 쪼개고 분해, 이전에 본 적 없는 전쟁의 한 가운데로 관객을 후송한다. 이건 앞으로도 없을, 무공해 놀란 표 전쟁영화다.

1940년, 연합군 33만 명이 나치 독일군에 몰려 프랑스 북부 덩케르크 해안 지역에 고립된다. 살아날 유일한 길은 후퇴. 그래서 이 후퇴는 항복이 아니라, 승리로 여겨졌다. 몰살 위기에서 삶의 의지를 놓지 않았던 청년들의 9일간의 처절한 기록, ‘덩케르크’다.

‘덩케르크’에는 연인과 얽히는 말랑말랑한 러브스토리가 없다. 탁상공론을 일삼는 정치인도 없다. 마음 졸이며 아들을 기다리는 전쟁 밖 가족사 역시 볼 수 없다. 여기엔 빗발치는 총알들 사이에서 온 몸의 피가 거꾸로 솟는 공포에 떨어야 어린 군인들의 절체절명의 生과 死가 있을 뿐이다. 적이 전면으로 드러나지 않는 이 영화는 적의 존재가 오히려 실체감 있게 매만져지는 아이러니를 선사한다. 창각적 파열이 가져오는 엄청난 파장의 서스펜스. 놀란의 세공술은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한 감각마저도 예민하게 깨운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손에 잡힐 것 같은 현장감이다. 놀란은 CG를 최대한 배제하고, 역사에 존재했던 대부분의 것들을 실제 화면으로 옮겼다. 박물관에 잠들어있던 전쟁 당시 전함과 구축함을 촬영장으로 끌고 온 놀란의 집념도 놀랍지만, 그런 놀란 밑에서 그 어려운 걸 또 해낸 스태프들의 내공도 만만치 않다. 카메라 감독의 경우 무겁고 큰 카메라를 직접 이고 가파르고 비좁은 선박을 종횡무진 한다. 스태프들에게 ‘덩케르크’ 현장은 다른 의미에서 진짜 전쟁터였을 것이다.

덕분에 “관객들에게 현장에 있는 느낌을 주고 싶었다”는 놀란의 포부는 목표를 달성한다. 총알이 날아와 내 뒤통수를 때리지 않을까 싶은 착각부터, 침몰하는 배에 고립되지 않을까 싶은 공포까지, 영화는 스크린 밖 관객을 전장의 한가운데로 멱살 잡고 끌고 간다. 어떤 면에서 이 영화는 밀실공포의 새로운 이정표라 해도 무방할지 모르겠다.

그리고 사운드다. 째깍째깍째깍. 한스 짐머의 손끝에서 탄생한 사운드는 그 자체로 영화에서 하나의 괴물로 기능한다. 시계 초침과 보트 엔진 소리 등이 러닝타임 내내 강약-강약약 리듬을 타며 서스펜스를 강화시킨다. 영화에서 사운드는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고 여겨지는 요소인데, 이를 뒤집는 사례로 기록될 만하다.

‘덩케르크’는 결국 서로 다른 시공간이 하나의 점으로 우아하게 착지하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는 여느 전쟁 영화들이 짊어진 설익은 교훈이 없다. 놀란 감독은 의식적인 선동을 최대한 지양하면서 인간의 존엄성이 실험 받는 역사의 시간을 조용히 응시한다.

이 영화에는 진짜 어른이 등장하는데, 병사들을 구하기 위해 소형 어선 ‘문스톤 호’를 몰고 덩케르크로 직진하는 영국 어부 도슨(마크 라이런스)은 무모한 작전에 뛰어드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답한다.

“어른들이 저지른 잘못에 아이들을 총알받이로 세울 수는 없소.” 책임지는 어른이 우린 얼마나 그리웠던가. 일명 ‘다이나모 작전’으로 기록된 그 날의 후퇴가 승리의 역사로 긴 시간 회자되는 건, 이 때문이다. 이건 보통 사람들이 쟁취한 역사니까.

정시우 기자 siwoorain@etoday.co.kr
저작권자 © 비즈엔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bizenter.co.kr

실시간 관심기사

댓글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