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비즈엔터

'한국인의 밥상' 최불암 나이 81세에 울릉도行, 칡소ㆍ독도새우ㆍ불볼락ㆍ섬말나리ㆍ명이나물ㆍ섬쑥부쟁이 토속밥상 소개

[비즈엔터 홍선화 기자]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나이 81세의 최불암이 울릉도를 찾아 섬말나리, 명이나물, 섬쑥부쟁이, 칡소, 독도새우, 불볼락 등으로 만든 울릉도 토속밥상을 소개한다.

28일 방송되는 KBS1 '한국인의 밥상'에서 최불암이 동해의 보석 같은 섬 울릉도에서 아름답지만 척박한 자연을 벗 삼아 살아온 섬사람들의 삶의 애환과 지혜가 담긴 울릉도의 토종 별미들을 만난다. 이름만 들어도 가슴 설레는 울릉도에는 육지에서는 보기 힘든 귀한 토종 먹거리들로 가득하다.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동해 푸른 섬, 울릉도의 봄은 나물 천국

동해의 끝자락에 자리 잡은 울릉도는 수백만 년 전 화산폭발로 형성된 화산섬으로 섬이 생긴 이후, 한 번도 육지와 연결된 적 없었던 외딴섬이다. 덕분에 육지에선 보기 힘든 희귀 자생식물 40여 종 등 울릉도 고유의 생물자원이 풍부한 그야말로 토종자원의 보물섬이다.

그중엔 울릉도 초기 개척민들의 척박한 삶을 지탱해주던 귀한 먹거리들이 있다.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백합과의 식물인 섬말나리의 뿌리, 명을 잇게 해준 나물이라 해서 이름 붙은 명이나물에 부지깽이라 불리는 섬쑥부쟁이, 삼나물, 미역취 등 울릉도의 봄은 나물로 가득하다.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봄이면 가파른 산자락을 따라 모노레일을 타고 어머니와 함께 나물 채취를 하러 김선화, 정성길 부부는 10년 전, 나물 농사 짓는 부모님 곁으로 돌아왔다. 어머니의 비법이 담긴, 바닷물에 숙성시킨 명이나물 장아찌와 인삼 향에 고기맛이 난다는 삼나물로 끓인 육개장. 농사지을 땅이 부족한 탓에 끼니를 대신해주던 옛 음식인 명이줄기 범벅과 밤처럼 팍신하고 단맛이 나는 섬말나리뿌리범벅까지, 울릉도의 척박한 삶의 애환이 담긴 옛 음식들이 밥상에 오르면, 울릉도의 진짜 봄이 시작된다.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울릉도에는 약초로 키운 칡소가 산다

울릉도 나물은 사람만 먹는 게 아니다. 부지깽이를 비롯한 섬의 나물들이 길게 웃자라면 베어다 소의 먹이로 쓰곤 했다. 울릉도 약초를 먹인 소라 해서 일명 울릉 약소이다. 특히, 울릉도에서 키우는 소의 대부분은 검은 바탕에 호랑이처럼 줄무늬가 그려진 토종 칡소다. 사라져가던 칡소를 복원해 현재 울릉도에서 키우는 칡소만 300여 마리이다.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부지깽이나물과 칡, 옥수수 등 자연에서 얻은 사료로 키운 울릉도 칡소는 붉은빛이 선명하고 특유의 향과 깊은 맛이 특징이다. 느끼함이 덜하고, 씹을수록 고소한 칡소 구이와 양지에 붙은 기름에 문어를 넣고 매콤하게 볶아낸 칡소문어두루치기, 울릉도에서만 나는 가시 없는 엉겅퀴를 넣고 끓인 선짓국까지, 토종 칡소의 명맥을 유지하며 사는 울릉도 사람들의 자부심이 가득 담긴 칡소 별미밥상을 만나본다.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꽃보다 독도새우, 울릉도의 봄을 부르다

울릉도의 봄은 독도새우의 계절. 미 대통령 방한 시 환영 만찬에 올라 주목받기 시작한 독도새우는 울릉도와 독도 인근, 수심 2~300미터 깊고 차가운 바다에서 잡히는 도화새우, 닭새우, 꽃새우를 부르는 별칭이다. 깊고, 차가운 바닷속, 거친 물살을 견디며 사는 독도새우는 껍질만 벗겨 회로 먹는 게 최고. 탱글탱글한 식감에 단맛이 입안에 감도는 게 일품이다.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사업에 실패한 후 빈손으로 고향 울릉도로 돌아와 생전 처음 배를 타기 시작했다는 정은주 씨 부부. 길게는 일주일, 험한 바다를 누비며 새우를 잡는 남편 생각에 아내도, 남편을 바다에서 잃은 어머니도, 늘 걱정에 애가 탄다. 그래도, 서로 의지하며 독도새우와 함께 인생 2막을 함께 살고 있는 가족들에게 바다는 가장 고마운 삶의 터전. 회로 먹고 남은 새우의 머리를 모아 기름에 튀긴 바삭바삭 고소한 새우머리튀김에, 새우와 대게를 넣고 얼큰하고 시원하게 끓인 새우게탕, 삼겹살과 함께 구워먹는 새우구이까지, 어디서도 맛보기 힘든 귀하고 맛깔스러운 밥상이 차려지면 고생하며 살아온 지난날도 어느덧 추억이 된다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우리가 울릉도에 사는 이유 – 귀촌부부와 토박이가 함께 차리는 울릉도 토속음식

울릉도 바다를 무대 삼아 색소폰을 불고, 틈만 나면 낚시를 즐기는 남편과 글 쓰고, 그림 그리고, 음식도 만들어 이웃들과 나누며 사는 아내. 첫눈에 반해 울릉도에 눌러 앉은 지 17년째인 귀촌 부부, 성한교 씨와 박정애 씨다. 특히, 울릉도 음식 맛에 푹 빠져 산다는 두 사람. 육지에선 맛보기 힘든 울릉도의 토종작물과 음식을 만날 때면 여전히 반갑고 신기하다.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한국인의 밥상'(사진제공=KBS 1TV)
오징어배 집어등이 환하게 꽃처럼 밤바다에 불을 밝히던 시절의 추억이 담긴 마른오징어전, 배를 타고 나가 몰(모자반)을 이용해 손으로 꽁치를 잡던 시절, 싱싱한 꽁치를 곱게 다져 동글동글 완자를 빚어 넣고 끓인 구수한 꽁치미역국은 이제는 맛보기 힘든 그리운 음식이 됐다. 그래도 여전히 봄이면 흔하게 잡히는 불볼락은 쫄깃한 생선살을 떠서 매콤새콤 물회를 만들고, 내장으로는 기름을 내어 된장과 채소를 넣고 볶아 고소한 강된장을 만든다. 살면 살수록 점점 그 매력에 빠져든다는 울릉도살이의 즐거움이 담긴 귀촌 부부의 울릉도 토속밥상을 만난다.

홍선화 기자 cherry31@bizenter.co.kr
저작권자 © 비즈엔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bizenter.co.kr

실시간 관심기사

댓글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