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엔터 홍선화 기자]
10일 방송된 EBS'명의 스페셜–망가진 간, 회복할 수 있을까?'에서는 세 사람이 동시에 수술을 받게 되는 2:1 생체 간 이식과 혈액형이 다른 이들 사이에서도 간 이식이 가능한 혈장교환술을 소개한다.
간은 ‘침묵의 장기’로 불린다. 질환이 생겼더라도 제 기능을 하는데 큰 문제가 없고 증상이 드러났을 땐 이미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가 많다.
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들이 여러 가지다. 하지만 간 손상이 심각하다면, ‘간 이식’이 최후의 치료법이 될지도 모른다. 과연 간이식은 안전할까?
국내 사망통계를 따르면 사망원인의 1위가 바로 암이다. 이중 간암은 모든 암 중에서도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간암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B형 간염이다. 간암의 약 95%는 B형, C형 간염과 간경화 같은 간질환에서 시작하는데, 특히 B형 간염 환자에게서 간암 발생 위험이 높다.
B형 간염바이러스는 태어나면서부터 감염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만성간염까지 진행된다. 성인이 되면서 간의 정상세포가 파괴되고, 염증이 생기면서 간 조직 딱딱해지는 간경변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여기서 심해지면 바로 간암이 되는 것이다. 간암 역시 다른 간 질환들과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증상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증상이 드러나 병원을 찾았을 때는 이미 간이 많이 손상되어있는 상태! 그렇다면 간암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미 망가진 간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 간 이식이다. 간 이식은 타인의 간을 적출하여 환자에게 이식하는 치료방법이다. 간 이식을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이 80%에 이를 정도로 치료효과가 좋다. 하지만 모든 환자가 간 이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선 간을 줄 수 있는 공여자가 필요하다. 간 적출 대상에 따라서 방법이 나뉘는데, ‘뇌사자 간 이식’과 살아있는 사람의 간 일부를 절제하는 ‘생체 간 이식’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족 혹은 친척에 의한 ‘생체 간 이식’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가족 혹은 친척이라 할지라도 무조건 간을 이식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간 이식을 받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할까?
간 이식은 공여자, 수혜자의 상태에 따라 이식의 여부가 결정된다. 간의 크기, 혈액형 등등 여러 조건들이 갖춰져야 간 이식이 가능한데, 최근에는 다양한 간 이식 방법들이 생겨나면서 이식 치료가 가능한 환자들의 범위 또한 늘어나게 되었다. 세 사람이 동시에 수술을 받게 되는 2:1 생체 간 이식과 혈액형이 다른 이들 사이에서도 간 이식이 가능한 혈장교환술이 그 방법이다. 2:1 생체 간 이식과 혈장교환술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 방법들에 대하여 '명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