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비즈엔터

금산 인삼 약초거리 고부 삼계탕 집ㆍ해물모듬장 한정식집ㆍ추부 깻잎떡ㆍ대둔산 쌍화차 찻집, '동네 한 바퀴' 이만기 만나다

[비즈엔터 맹선미 기자]

원본보기▲'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동네 한 바퀴' 이만기가 충북 금산에서 인삼 약초거리 고부 삼계탕 집, 해물모듬장 한정식집, 추부 깻잎떡, 대둔산 쌍화차 찻집, 바리실 마을 어머니의 경옥고를 만난다.

15일 방송되는 KBS1 '동네 한 바퀴'에서는 인삼 향 짙게 풍기며 올차게 뿌리내린 생명들로 풍요를 이룬 동네 충남 금산으로 떠난다.

원본보기▲'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추부 깻잎떡으로 인생 2막을 연 귀농 부부

금산의 또 다른 명물, 추부 깻잎. 다른 깻잎에 비해 잎이 크고 쓴맛이 적으며 저장성이 뛰어난 추부 깻잎은 전국 생산량의 약 40%를 차지한다. 직접 키운 깻잎으로 떡을 만든다는 말에 어머니를 따라 가게 안으로 들어가자, 가게 한쪽에 깻잎으로 만든 다양한 떡들이 진열되어 있다. 2년 전, 시가를 헐어 떡집을 차렸다는 아내, 손옥순 씨. 시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깻잎 밭을 일구다, 깻잎으로 떡을 만들 수 있겠다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곧바로 귀농을 선택했다. 추부 깻잎으로 향긋한 인생 2막 스토리를 펼쳐나가는 부부를 만나본다.

원본보기▲'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고부가 만든 삼계탕

전국 인삼 유통의 중심, 금산읍 인삼약초 거리로 들어선다. 전국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인삼 집산지로 알려진 거리에는 약 1,000여 개의 상가들이 밀집해 있다. 인삼과 약초가 즐비한 거리를 구경하다, 평상에 앉아 무언가 만들고 있는 어머니들을 만난다. 다름 아닌 인삼 몸통으로 꽃을 만들어 담그는 인삼꽃주. 술에 담가 촉촉해진 인삼 몸통을 얇게 잘라내어 돌돌 말아가며 매화나 장미, 카네이션 등으로 만든 꽃은 인삼주를 장식할 때 쓰이는데, 이왕이면 다홍치마라 인삼주 맛을 곱절로 살려준단다.

원본보기▲'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한참 시장을 구경하다 어머니와 아내가 운영하는 삼계탕집. 30년 전, 금산에 삼계탕집을 차렸다는 어머니을 방문한다. 이제는 나이가 들어 힘든 시어머니를 대신해 며느리가 그 손맛을 이어가고 있다. 며느리 다리 아플까 봐 모아놓은 돈으로 좌식에서 입식 테이블로 바꿔주고, 가게 열쇠와 통장도 며느리에게 온전히 맡겼다. 시어머니의 사랑 듬뿍 받은 덕에 밥 하나 안칠 줄 몰랐던 며느리는 이제 어엿한 주인으로서 가게를 꾸리고 있다. 20여 가지 약재와 인삼을 가득 넣어 기운 펄펄 나는 삼계탕에는 서로를 생각하는 고부의 따뜻한 정도 함께 끓고 있다.

원본보기▲'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대둔산 약초꾼 부부가 달인 쌍화차

호남의 금강산이라 불리는 대둔산 자락. 마당에서 약초를 한가득 널어 말리는 한 남자를 만난다. 대둔산 날다람쥐로 불리는 20년 차 약초꾼, 고재웅 씨. 수백 년 된 복령과 도라지, 귀한 산삼까지 희귀 약초들로 담근 약주들이 그의 실력을 대변한다. 약초꾼의 두 번째 직업은 쌍화차 찻집 주인. 재웅 씨가 직접 캔 귀한 약초로 쌍화차를 달이면, 아내가 그에 어울리는 다과 한 상을 준비한다. 본래 사업을 했던 재웅 씨는 누구보다 치열하게 살아왔지만, IMF로 부도가 나면서 삶의 의지가 꺾여 산을 찾기 시작했고, 그사이 착한 아내가 남편이 마음을 추스를 때까지 묵묵히 생계를 책임졌단다. 선녀같이 착한 아내와 우직한 약초꾼 남편이 만든 쌉싸름한 쌍화차를 맛본다.

원본보기▲'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스타 강사의 반전 인생, 해물모듬장

읍내 골목을 걷던 이만기는 멋진 글귀가 내걸린 가게를 발견한다. 7년째 자매가 운영하는 한정식집. 동생에게 요리를 배우며 실장을 맡은 언니, 지영 씨와 사장이자 주방장인 동생, 소영 씨가 꾸려가고 있는 곳이다. 대치동 스타 강사라는 화려한 전직을 그만두고, 소영 씨가 금산에 내려온 이유는 언니 때문이다.

원본보기▲'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당시 아팠던 언니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덥석 가게를 차려 선물로 주었지만, 문제는 언니의 요리 실력이 아무리 해도 늘지 않았던 것. 그렇게 7년째 공부만큼이나 요리에도 열정적인 동생이 언니에게 요리 1타 강의해주며, 운영 중이다. 음식으로 새로운 인생을 꿈꾸는 자매의 해물모듬장 한 상을 맛본다.

원본보기▲'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금산(사진제공=KBS 1TV)
◆황소 어머니의 특별한 보약, 경옥고

스님의 밥주발인 ‘바리’를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 ‘바리실’ 마을의 좁은 길 따라 언덕을 오르던 이만기는 고추를 따고 있는 노부부를 만난다. 부부가 햇살 좋은 가을이 되면 빼놓지 않고 만드는 것이 있다. 바로 <동의보감>에 첫 번째로 소개한 처방이자 임금님의 수라상에도 올랐다는 경옥고이다. 인삼, 지황, 복령, 꿀 네 가지를 주재료로, 끈적해질 때까지 15일을 달이면 진한 밤색의 경옥고가 완성된다. 지극정성으로 달이는 어머니의 특별한 보약, 경옥고. 그 속에는 가족을 향한 어머니의 깊고 진한 사랑이 응축돼 있다.

맹선미 기자 msm@bizenter.co.kr
저작권자 © 비즈엔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bizenter.co.kr

실시간 관심기사

댓글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

close_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