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엔터 홍선화 기자]

15일 방송되는 KBS1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바닷가 마을의 특별한 여름 나기, 푸른 내음 가득한 든든한 밥상을 만난다.

긴 해안선 덕분에 여름이면 주변 지역보다 더 시원하다는 구룡포. 이곳 토박이 김종수 선장을 따라 아귀를 잡으러 가본다. 아귀에 대해서는 모르는 것 없다는 김 선장! 그에게서 아귀의 생태며, 먹잇감을 유인해 잡는 비법까지 아귀의 모든 것을 배워본다. 선착장으로 돌아온 김 선장을 맞이하는 사람은 손발이 잘 맞는 아내 김숙희 씨. 부부는 갓 잡은 아귀여야만 먹을 수 있다는 쫄깃쫄깃한 아귀꼬리회로 원기를 보충한 뒤, 잡은 아귀를 리어카 가득 싣고 어디론가 향한다. 수십 년 째 가까이 지내는 이웃 부부와 구룡포만의 여름 밥상을 보여주겠단다.
마을 동생이자 해군 후배라는 지영수 씨가 능숙한 솜씨로 아귀를 해체하며 아귀에서 가장 맛있는 부위를 골라 보여준다. 바로 아귀의 간과 위이다. 아귀 간은 수육으로, 위는 탕에 넣어 먹어야 아귀를 제대로 먹었다고 할 수 있다는데. 아귀간수육과 아귀탕, 아귀찜은 물론이고 이곳 사람들은 겨울이 아닌 여름에 더 즐겨 먹는다는 도루묵구이와 도루묵찌개까지, 구룡포의 여름 나기에 동행 해본다.

특별한 보양식이 있다는 부산 기장군 연화리를 찾아간다. 남들은 퇴근할 저녁 여섯 시에 바다로 출근하는 조용숙 선장. 한참을 달려 해가 지고 어둠이 찾아오면 그의 하루가 시작된다. 야행성인 붕장어를 잡기 위해서이다. 깊은 바다 속에서 잡아 올려야 해서 어군탐지기가 소용없는 붕장어잡이는 오직 선장의 노련함에 기댈 수밖에 없단다.


경주시 감포읍의 자그맣고 아늑한 항구인 대본항. 해녀 어머니 김귀란 씨와 어부 아들 홍정태 씨를 따라 바다로 향한다. 그런데 조업을 하러 가기 전, 어린시절 미역을 뜯으며 놀던 바위를 보여주겠다는 귀란 씨. 그런데 알고 보니 그곳은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 30대 왕 문무왕의 수중릉이었다. 바위가 문무대왕릉이라는 것이 밝혀지기 전엔 그곳을 ‘땡바위’라 부르며 미역을 따러 가곤 했다. 귀란 씨는 열여섯 살 무렵 동네 아낙들이 제주 해녀들에게 물질을 배우기 시작하던 때에 함께 해녀가 됐다. 누구보다도 글쓰기와 공부를 좋아했지만 부모님을 일찍 여읜 귀란 씨에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올해 칠순을 맞은 귀란 씨는 오늘도 숨비소리를 내며 돌미역과 전복을 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