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비즈엔터

'동네 한 바퀴' 이만기, 경북 영양 두들마을 음식디미방 체험ㆍ영양양조장 카페ㆍ양항 약수 백숙 만난다

[비즈엔터 맹선미 기자]

▲'동네한바퀴' 경북 영양 (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경북 영양 (사진제공=KBS 1TV)
'동네 한 바퀴' 이만기가 경북 영양에서 포산마을의 고추죽 도시락, 두들마을 음식디미방 체험, 영양양조장 카페, 일월산 자생화공원, 양항 약수 백숙 등을 만난다.

24일 방송되는 KBS 1TV '동네 한 바퀴'에서는 적은 인구의 소도시기에 더욱 알차고 알알이 여문 경북 영양으로 떠난다.

◆행복고도 600고지 포산마을의 고추죽 도시락

포산마을은 사람이 가장 편안하게 느낀다는 600고지에 10가구 14명이 사는 오지 마을이다. 적은 강우량과 풍부한 일조량으로 맛과 향이 뛰어나기로 유명한 영양 고추. 그중에서도 포산마을은 고도가 높아, 큰 일교차로 고추가 더욱 맛있게 익어가는 동네다. 질 좋기로 유명한 고추만큼 먹을 것이 부족했던 시절, 잘게 다진 고추에 밀가루를 풀어 만든 고추죽은 현재 포산마을의 명물이 되었다. 부녀회장 이귀순 씨의 시어머니부터 내려온 고추죽은 다진 고기, 다진 버섯과 찹쌀을 넣어 맛도 모습도 발전했다. 맵찬 시집살이 버티며 허기를 달래던 고추죽은 이제 이웃 간의 정을 나누는 마을 음식이자 동네를 찾는 관광객에게 특별식이 돼 도시락으로 포장 배달되고 있다. 마을이 한눈에 보이는 전망대에서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고추죽을 맛본다.

▲'동네한바퀴' 경북 영양 (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경북 영양 (사진제공=KBS 1TV)
◆자연과 사람을 잇는 하늘의 메신저, 솟대

영양 곳곳에서 마주할 수 있는 솟대들을 제작한 입암면 토박이 김동환 작가. 어귀에 세우는 마당 솟대와 장식용 일월산 솟대를 주로 만드는 작가의 솟대는 나무부터 특별하다. 기다림의 미학으로 깎아낸 솟대로 더 많은 사람의 희망이 되어주고 싶다는 작가의 진심을 하늘 위로 띄워 보낸다.

◆360여 년 전 반가 부녀자들의 필독 조리서 '음식디미방'

언덕 위에 위치해 두들이라 이름 붙은 두들마을은 360여 년 전 조선 후기 유학자 석계 이시명 선생과 부인 장계향 선생이 터를 잡아 형성된 마을이다. 장계향 선생은 후손을 위해 일흔이 넘은 나이에 '음식디미방'이라는 조리서를 집필했다. '음식디미방'은 1600년대 조선 중후기 양반가의 식문화와 146가지의 요리법을 자세하게 소개한 책으로, 최초의 한글 요리서이자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여성이 쓴 조리서로 이름이 높다. 그림이 없기에 활자로만 남은 요리법들을 13대 종부 조귀분 씨가 본인의 손맛을 더해 재현해 냈다. '음식디미방'의 음식은 고춧가루를 쓰지 않고 재료 본연의 맛을 살려 자극적이지 않고 담백하다는 특징이 있다. 복원한 음식들로 장계향 선생의 맥을 잇고 널리 알리고 싶다는 석계 종가의 내림 음식을 맛본다.

▲'동네한바퀴' 경북 영양 (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경북 영양 (사진제공=KBS 1TV)

◆새로 빚는 100년의 세월, 영양양조장 카페

산이 높아 물이 좋으니, 술맛도 좋기로 유명한 영양의 영양양조장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양조장이 있었던 곳. 하지만 2018년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폐업했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부터 반세기 넘게 영양군민의 희로애락을 함께했던 양조장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였으나 주민들의 노력을 통해 카페로 재탄생했다. 공간의 묵은 더께를 털고 건물 양식을 그대로 살린 인테리어로 2022년 카페로 문을 연 이후 많은 손님의 발길을 잡았다. 정감 있는 분위기에 더해 막걸리 타르트, 막걸리 푸딩, 막걸리 스무디 등 이색 막걸리 디저트를 만들어 양조장의 역사도 잇고 있다고. 목조 건물 깊이 스며든 구수한 추억의 향기에 더해 막걸리의 재발견 디저트로 사랑방이 되고 있다.

◆일월산 자생화공원으로 다시 피어난 폐광산

일월산 자락에서 계절마다 알록달록 꽃들을 피워내는 자생화공원은 아픈 역사가 잠들어 있는 곳이다. 공원 뒤편 풍화된 콘크리트가 흙빛을 내는 15층 높이의 계단식 건물은 1939년 일제가 광물 수탈을 목적으로 만든 선광장이다. 40여 년간 일월산에서 채광한 금, 은, 아연 등 광석을 선광장에서 선별 및 제련했다. 1976년 폐광, 방치되면서 황폐해진 땅엔 30여 년간 어떠한 생명도 살 수 없는 버려진 땅이 됐다. 하지만 2001년 오염된 땅을 매립, 정화 작업을 거친 후 일월산 일원에 자생하는 야생화를 심어 지금의 자생화공원을 조성했다. 아픈 역사를 덮고 눈부시게 만개한 우리 꽃들의 오늘을 만끽해 본다.

▲'동네한바퀴' 경북 영양 (사진제공=KBS 1TV)
▲'동네한바퀴' 경북 영양 (사진제공=KBS 1TV)
◆어쩌다 사장 부녀가 만드는 약수 백숙

철분이 많아 톡 쏘는 맛이 일품인 양항 약수가 있어 예부터 장수마을로 유명했다는 양항리에 약수로 백숙을 만드는 가게가 있다. 13년 동안 백숙집을 꾸려온 어머니의 건강이 안 좋아지면서 가게가 문 닫을 위기에 처하자, 세탁기 한번 돌려본 적 없는 아버지와 부엌칼 한번 제대로 안 쥐어본 딸이 2년째 합을 맞추는 중이다. 모든 게 처음인 딸을 위해 아버지 역시 초보 사장님 보필에 여념이 없다고. 게 껍데기와 수박 등 특식을 먹이며 직접 기른 토종닭, 철마다 캐온 약초와 밭에서 기른 채소들 덕분에 딸의 요리는 더 특별해지고 부녀는 함께 보람을 느낀다. 서로의 복이 되어주는 부녀의 합작품, 토종닭 백숙을 맛본다.

◆선비의 고장, 주실마을의 무료 쉼터

경북 영양 일월면 주실마을은 400여 년 전, 한양 조씨가 입향한 이래로 한양 조씨의 집성촌이자 청록파 시인 조지훈의 고향으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선비 정신의 맥을 이어가는 주실마을에는 ‘마을을 거치는 나그네에게는 냉수라도 먹여 보내라’는 선친의 가르침을 잊지 않고 실천하는 조석윤 씨가 있다. 조석윤 씨는 ‘까빠 뚜뜰서 숨 돌리고 가세’라는 영양 사투리 간판을 집 앞에 내걸었다. ‘가파른 언덕길에 쉬었다 가라’는 뜻처럼 자신이 살고 있는 가정집을 카페처럼 예쁘게 꾸미고 가꿔 주실마을을 지나는 누구나 쉬고 갈 수 있도록 대문을 활짝 열었다. 담이 아닌 정을 쌓고 살아가며 나눔의 정신을 잇고 있는 주실마을에서 다정한 마음을 만나본다.

맹선미 기자 msm@bizenter.co.kr
저작권자 © 비즈엔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bizenter.co.kr

실시간 관심기사

댓글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