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비즈엔터

[인터뷰] ‘버닝’의 해미, 전종서는 누구일까

[비즈엔터 이주희 기자]

(사진=CGv아트하우스)
(사진=CGv아트하우스)

영화 ‘버닝’의 해미(전종서 분)는 종수(유아인 분)의 앞에 갑작스럽게 나타났다가 끝내 사라진다. 그가 죽었는지 떠났는지, 죽었다면 대체 누가 죽였는지, 스스로 떠났다면 왜 떠난 건지, 알 수 없는 의문을 가득 단 채 없어지고 만다. 미스터리한 해미에 대한 궁금증은 캐릭터를 소화한 전종서라는 배우에게로도 옮겨갔다. 과연 해미는, 전종서는 누구일까.

‘이창동 감독이 선택한 신예’ ‘제2의 문소리’ ‘제2의 김태리’, 신인 배우 전종서를 향해 쉽게 쏟아낸 수식어다. 최근 진행된 인터뷰에서 만난 전종서는 ‘제2의 누군가’라고 말하기엔 고유의 매력이 강한 사람이었다.

자유분방한 듯 나른해 보이지만 자신이 해야 할 말은 제대로 해내는, 영화 ‘버닝’의 해미 캐릭터를 묘사할 때 쓴 단어를 그대로 쓰면 전종서가 되었다. 그도 그럴 것이 ‘버닝’ 속 캐릭터는 이창동 감독이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배우의 특성을 캐릭터에 그대로 살린 것으로, 전종서는 자신의 일부를 꺼내 해미라는 인물을 구체화시켰다.

전종서는 “대본에 ‘해미가 어떤 캐릭터에요’라고 적혀있던 건 아니었다. 감독님도 종수, 벤, 해미가 어떤 사람인지 모른다고 하셨다. 열어두고 출발을 했던 것 같다. 그래서 실제 내 모습이 일정 부분 담겼다. 만들어진 캐릭터에 내가 끼워 맞춘 게 아니기 때문에 나와 닮아 보이는 것 같다. 또 다른 나라고 생각한다”라고 설명했다.

(사진=CGv아트하우스)
(사진=CGv아트하우스)

이창동 감독의 8년만의 신작, 이 작품의 여주인공 해미가 되기 위해 수백 명의 배우들이 몰려들었다. 많은 후보자 중 이창동 감독은 전종서를 선택했다. 앞서 이창동 감독은 전종서의 진솔한 모습이 마음에 들었다고 밝힌 바 있다. 오디션은 이창동 감독이 배우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심층 면접으로 집행됐다. 이 배우가 어떤 사람인지 파악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전종서는 오히려 자신의 성향을 드러내는 것을 기피하는 편이었다고 한다.

전종서는 “‘내가 어떤 사람이에요’라고 말할 수 있지만, 많은 문장들이 내입에서 나온다고 하더라도 정확히 표현이 안 될 것이다. ‘나는 누구일까’ 평소에도 자문을 많이 한다”라며 “술에 취해서 자신의 행동을 기억 하지 못할 때가 있지 않나. 가끔 맨 정신에도 그럴 때가 있는데, 이런 부분이 감독님 앞에서 많이 오픈된 것 같다. 영화를 찍을 때도 많은 장면에서 비슷한 상황을 마주했다”라면서 해미가 됐던 순간을 회상했다.

그렇게 전종서는 데뷔작으로 영화인들의 꿈의 무대인 칸국제영화제까지 가게 된다. 이창동 감독 대부분의 작품이 칸에 초청된 바 있기에 ‘버닝’은 시작 단계부터 칸에 가는 것이 당연하게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전종서는 이 부분에 대해 “둔했던 것이 사실이다”라고 털어놓으며 “영화제에 간다는 분위기가 있었어도 남 얘기 같았다. 그 정도로 나와는 거리가 먼 무대라고 생각했다. 아무튼 칸에 가게 되었을 때는, 촬영이 다 끝난 상황이라 아쉬움이 컸었는데, 이 분들과 다시 만난다고 해서 좋았다. 굳이 칸이 아니더라도 그 자체로 의미가 있었다”라며 ‘버닝’ 팀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다만 그는 “높은 하이힐과 드레스, 액세서리에 화장까지, 내 옷이 아닌 옷을 입었다. 나를 위해 내 옆에서 스태프분들 상주해주시는 게 부담스러웠다. 내가 아닌 느낌이 드니까. 말의 앞뒤가 안 맞을 수 있는데, 연기를 하는 것을 사랑하고 그걸 봐줄 수 있는 사람도 존재해야하겠지만, 내가 누군가 앞에 서서 배우라는 명목아래 뭔가를 한다는 게 불편하다. 내가 정확히 어떤 행동을 하고 표정을 지어야 하는지 모르겠다”라고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그렇다면 전종서에게 멋있는 배우란, 그리고 연기란 무엇일까. 그는 “배우들이 멋있어 보일 때는 겉모습이 아름다울 때가 아니라 어떤 연기를 했을 때 그게 나를 건드리는 경우다. 거기에 대한 동경은 있다. 내가 이 쪽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게 아닌 연예인으로서 모습은, 대중이 혹은 내가 얼마나 편할 수 있을까 싶다”라며 “연기가 진짜 같고, 현실이 다 거짓말 같을 때가 있다. (연기에 빠져들었을 때) 진짜로 다가오는 일말의 순간들이 있다. 교감을 전해 받는 그 순간만큼은 진짜인 것이다. 물론 현실에서도 가능하다. 사소하게 보면 현실에서도 진짜는 많겠지만 굳이 이야기하자면 그렇다”라고 말했다.

(사진=CGv아트하우스)
(사진=CGv아트하우스)

이런 전종서에게 ‘버닝’은 “자화상 같은 영화”였다. 그는 “영화를 보고 나를 돌아보게 됐다. 내가 살아가는 현 시대에 대해 내가 어떤 형태로 살아가고 있는지 되짚어 봤다”라고 이야기 했다.

특히 해미가 없어지고 나서 내레이터 모델인 해미의 친구는 여자의 삶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토로한다. 이는 여성의 삶의 고통에 대해 이창동 감독이 직접적으로 언급한 부분으로, 최근에 와서야 불거진 여권신장 문제를 떠올리게 한다. 전종서는 “친구가 한 대사가 너무 좋았고, 공감했다. 평소에 누군가 여성을 비하한다든가 편견을 갖고 대하면, 내 일이 아니더라도 꼭 짚고 넘어간다. 말하는 건 그 사람의 자유지만, 여자들이 옹호하고 지키려고 하는 것은 그만큼의 피해에 대한 의식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여성성’에 대한 개념 정리도 올바르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소신을 털어놨다.

전종서가 주장한 것은 ‘정답이 없다’는 것과 ‘다름을 인정해 달라’는 것이다. 다양성에 대해 이야기 하는 전종서의 삶의 태도는 그의 어린 시절을 궁금하게 만들었다. 전종서는 “혼나지 않고 자랐고, 부모님과 대화가 정말 많았다. 부모님께서는 ‘정답이 없다. 다만 나의 선택은 존재한다’고 말씀하셨다. 예를 들어 ‘담배는 나쁜 거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몸에는 좋지 않은 이러한 근거가 있다. 하지만 담배를 피고 안 피고는 너의 선택이야’라고 하셨다. 흔히들 말하는 ‘나쁜 것’에 대해서 ‘나쁘다’라고만 단정 짓는 교육을 받진 않았다. 내가 누군가와 싸우면, 싸움이 나쁜 거라고만 하시지도 않았다. 싸울 수 있다는 걸 배웠고 그걸 어떻게 해결하고 받아들이는지에 대해서 배웠다. 여기서 오는 불편한 순간들도 있다. 그냥 대충하고 가면 될 수도 있을 거다. 현재로는 ‘내가 맞아요’라고 할 수 없지만 나 같은 사람도 존재한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 입장도 존중하니 서로 존재한다는 것 자체만이라도 이해하자는 거다. 정답과 오답에 대해 논하고 규격화시키는 것, 정교할 정도로 가공되어있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있다”라고 전했다.

“앞으로도 살아가는 방식과 가치관이 많이 바뀔 것 같다”라고 말하는 전종서는 배우로서 자신의 미래도 확정짓지 않았다. 그는 “앞으로의 일은 모르겠다. 나는 10년 후에도 나일 것 같다. 지금과 전혀 다를 게 없을 것 같다. 10년 뒤면 서른다섯이 되는데 평범하지 않을까 싶다. 지구가 멸망했을 수도 있지 않나.(웃음) 당장 내일도 모르기 때문에 오늘 이 순간에 충실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이주희 기자 jhymay@etoday.co.kr
저작권자 © 비즈엔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bizenter.co.kr

실시간 관심기사

댓글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