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비즈엔터

[프로듀:썰] 허정필 미술감독 “세트디자인은 끝나도 끝난 게 아니다” ②

[비즈엔터 김예슬 기자]

▲SBS ‘언니는 살아있다’ 촬영 현장(사진=SBS)
▲SBS ‘언니는 살아있다’ 촬영 현장(사진=SBS)

스타가 밥을 잘 먹기 위해서는 정갈하게 차린 밥상이 필요하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밥상을 차렸던 사람들이 있기에 빛나는 작품, 빛나는 스타가 탄생할 수 있었다.

비즈엔터는 밥상을 차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매주 화요일 ‘현장人사이드’에서 전한다. ‘현장人사이드’에는 3개의 서브 테마가 있다. 음악은 ‘音:사이드’, 방송은 ‘프로듀:썰’, 영화는 ‘Film:人’으로 각각 소개한다.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에게 듣는 엔터 · 문화 이야기.

방송은 공간, 즉 ‘세트’의 집합체다. 교양, 예능, 드라마 등 수많은 TV프로그램의 장르 속에서도 세트는 늘 중요한 배경이자 무대가 된다. 때로는 프로그램의 콘셉트를 명확하게 살려주고, 때로는 작품의 캐릭터성을 더욱 돋보이게 만드는 장치다.

최근 인기리에 방영 중인 SBS 토요드라마 ‘언니는 살아있다’와 18일 첫 방송된 SBS 새 월화드라마 ‘사랑의 온도’의 세트 디자인을 담당하는 SBS A&T 허정필 미술감독은 이 분야에서 전문가로 꼽힌다. 지난 2002년 8월, 당시 SBS 아트텍에 입사해 방송 미술에 입문한 뒤로 ‘인기가요’ 및 다양한 예능, 교양 프로그램의 무대세트 디자인을 거쳐 ‘호박꽃 순정’, ‘냄새를 보는 소녀’, ‘리멤버 아들의 전쟁’, ‘미세스캅’, ‘낭만닥터 김사부’ 등 유수 작품의 세트 디자인을 총괄했다. 허정필 미술감독을 통해 방송 미술 속 세트 디자인 세계를 엿봤다. (인터뷰 ①에서 이어집니다)

Q. 세트 디자인 업무가 이뤄지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단순히 세트를 디자인하는 걸 넘어 여러 상황을 컨트롤하는 것 같은데.
허정필 미술감독(이하 허정필):
시놉시스를 받고 연출가와 미팅을 한 뒤 조율하는 과정이 이뤄져요. 중요도로 따지면 연출가와의 협의가 90%이죠. 나머지 실 작업은 10%인데, 이 작업량이 굉장히 많아요. 그래서 연출가와 미팅에서 도출한 협의가 중요하죠. 협의 과정을 포함해 디자인은 2달 정도 걸린다고 보면 돼요. 제작은 한 달 반에서 두 달 가량 걸리고요.
사극은 6개월에서 1년 전부터 준비하는 경우도 있는데, 일반적인 미니시리즈나 드라마는 3달 정도 여유를 두고 시놉시스 확인 뒤 이미지 회의, 도면 회의 후 의견 확정을 한 뒤 제작에 대한 설명을 하고 실 제작, 소품 세팅 등을 거친 뒤 마무리를 해요. 그 후 카메라 리허설 등을 거쳐 실 촬영을 시작하죠.

▲허정필 미술감독이 세트 디자인을 맡은 ‘낭만닥터 김사부’, ‘언니는 살아있다’, ‘원티드’(사진=SBS 방송 캡처)
▲허정필 미술감독이 세트 디자인을 맡은 ‘낭만닥터 김사부’, ‘언니는 살아있다’, ‘원티드’(사진=SBS 방송 캡처)

Q. 촬영 시작 전까지 세트 디자인의 업무 기간이 꽤 긴 것 같아요. 공간을 구상해서 구체화하는 게 쉽지만은 않은 일인데.
허정필:
그래서 연출가와 도면 협의, 캐릭터 이미지 분석 과정이 끝나면 그 다음부터는 본격적으로 사무실에 앉아 디자인을 해요. 이후에 인테리어 팀을 만나서 어디엔 커튼과 가구가 들어가고, 소파와 책상 들어가는 등의 자세한 설명을 하죠. 그리고 나무로 만들어지는 뼈대를 세운 뒤에 천장 마감, 도배, 타일 등 다양한 마감재를 써요. 여기서 비용이 꽤 들어가게 돼요. 그래서 경영 지원팀과도 계속 만나면서 주어진 예산에서 내가 얼마만큼의 돈을 썼는지 등을 설명하죠. 그런 과정을 거쳐서 촬영에 최적화된 상태를 만드는 게 저희의 일이에요. 이후에 촬영이 모두 종료되면 고정 세트의 철거까지 도맡아야 해요.

Q. 철거까지 세트 디자인 업무에 포함되나요?
허정필:
끝났다고 끝이 아니거든요(웃음). 고정 세트의 철거 진행과정을 관리, 감독해야 해요. 다른 팀이 스튜디오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철거를 하는데 최소 일주일에서 보름 정도 걸려요. 철거에도 순서가 있는데, 세트 설치와 역순으로 소품이 먼저 빠지고 전기효과도 빠져야 해요. 합판 목재에 부착된 철물이나 유리도 빼놔야하고 맨 마지막에는 나무로 제작된 세트 뼈대를 철거해야 하죠. 세트 디자인 업무라고 해서 디자인만 하는 건 아니랍니다. 세트 철거 때에도 세트팀과 작화팀, 인테리어 디자인팀, 세트팀 등 팀과 팀 사이 일정을 정리하고 조율해야 돼요. 업무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게 전체적인 스케줄을 잡아야 하죠.

Q. 요컨대, 세트 제작과 관련된 모든 일정을 총괄한다는 거네요.
허정필:
그걸 꼭 해줘야 해요. 그래야 촬영 일정을 연출팀과도 조율할 수 있는 거거든요. 만약 중간에 하루씩 문제가 생기면 나중엔 사흘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변동사항이 되어버려요. 그렇게 되면 기존 일정보다 며칠이 밀리게 되는 거죠. 그래서 이런 일이 생길 때면 연출팀에게 이러이러한 상황이 예상되니 플랜B를 갖고 있으라는 등의 전달을 해줘요. 이런 식으로 수시로 체크해서 일정을 확실하게 조정, 정리하고 있어요.

Q. 알면 알수록 힘든 일 같아요. 이 모든 걸 알고 시작했나요?(웃음)
허정필:
구체적인 업무 내용은 입사 후에 알았어요. 드라마를 하면서 더 많이 알게 되기도 했고요. 2002년 8월에 입사를 했지만 드라마는 2000년대 말쯤 시작했어요. 메인 디자인을 처음으로 한 게 ‘호박꽃 순정’이죠. 이번 ‘사랑의 온도’가 제 10번째 메인 디자인 작품입니다. 지금은 ‘사랑의 온도’를 함께 하느라 ‘언니는 살아있다’를 노상순 선배가 함께 해주고 있어요. 고정세트를 다 지어놔서 전환세트 디자인만 남아있거든요. 그래서 지금은 노상순 선배와 제 이름이 미술 감독 자막으로 함께 나오고 있습니다.

(▲SBS 월화드라마 '사랑의 온도')
(▲SBS 월화드라마 '사랑의 온도')

Q. 고정세트와 전환세트는 다소 생소한 개념이에요. 어떤 차이를 갖고 있는 건가요.
허정필:
전환세트는 다시 지었다가 철거했다가를 반복하는 거예요. 최근에 ‘언니는 살아있다’에는 사군자(김수미 분) 집중 치료실이나 김은향의 화장품 사무실 같은 새로운 장소가 계속 나오고 있어요. 그래서 디자인을 할 일이 계속 생기죠. 그리고 공룡그룹 신제품 개발 사무실과 구세경의 본부장실, 구회장의 회장실, 나대인 집도 모두 전환세트예요. 사용할 수 있는 스튜디오 공간이 한정돼 있으니 촬영에 필요한 공간을 계속 지어서 쓰고 있어요. 일산 탄현 제작센터의 9개 스튜디오에서 3가지의 스튜디오만 전환 세트로 사용 가능해서, 월화/수목/주말/아침 드라마 4개의 프로그램이 번갈아가며 사용하고 있는 거예요.

Q. 세트를 한 번 지어놓으면 일이 마무리되는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일이 정말 많은 것 같아요. 고된 일이지만, 업무를 할 때 뿌듯한 부분도 있을 것 같은데요.
허정필:
수정, 변경 사항이 없을 때예요(웃음). 최소화될수록 정말 뿌듯하죠. 도면을 협의하고 3D 이미지를 보여줘도 현장에서 직접 봤을 때 느껴지는 게 다르거든요. 그래서 결과를 보여주는 리허설 때가 가장 긴장돼요. 동선도 체크하며 전체 분위기를 보는 건데, 수정할 부분이 거의 없을 때 가장 보람을 느끼죠. 그것 외에는 방송이 나올 때 ‘미술 허정필’이라고 이름이 나와서 주변 지인들에게 연락이 올 때가 좋아요. 그럴 때면 이 일을 참 잘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죠.

Q. 반대의 경우를 물어볼게요. 이 일의 어떤 부분이 가장 힘들게 느껴지나요?
허정필:
말 그대로 뿌듯할 때와 반대인 경우예요. 수정, 변경 사항이 많을 때죠. 디자인을 할 때 창작의 고통은 당연한 거라고 보는 편인데, 수정할 부분이 많으면 제가 연출가 의도에 부합되지 않은 결과물을 낸 것이기 때문에 제 일을 반성하게 돼요. 그 전에 도면회의나 이미지 콘셉트 회의가 원활히 잘 이뤄지지 않을 때면 제가 이 일에 맞지 않나 하는 생각도 하고요.

Q. 연차가 높은 베테랑임에도 업무에 있어 고민은 있나 보네요.
허정필:
있을 수 밖에 없어요. 똑같은 드라마를 해도 똑같이 할 수가 없는 거거든요. 만약 ‘언니는 살아있다’를 5년 뒤 리메이크한다고 해도 세트 디자인은 다르게 할 수밖에 없어요. 도면은 같아도 톤은 다르게 하는 식으로 변화를 줘야 하죠. 5년 후에는 그때의 유행 컬러가 있으니까요. 항상 똑같을 수 없어 힘들죠.

▲‘언니는 살아있다’에 등장하는 다양한 세트들(사진=SBS ‘언니는 살아있다’ 캡처)
▲‘언니는 살아있다’에 등장하는 다양한 세트들(사진=SBS ‘언니는 살아있다’ 캡처)

Q. 업무의 장·단점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허정필:
일단 탄력근무제라는 점이에요. 규정된 8시간 근무를 성실히 채우기만 하면 되죠. 창작을 한다는 이유로 약간의 자유로움이 있어요. 대신 주말에 근무를 굉장히 많이 해요. 의뢰가 금요일 저녁에 오게 되면 토, 일요일에 일을 하게 되고 촬영이 월요일이면 토, 일요일에 진행을 맡게 되죠. 그렇게 주말에 일을 해도 평일에 이틀을 그대로 쉴 수는 없어요. 프로그램이 끝나기 전까진 어떤 변수가 생길지 모르니 온전하게 쉴 수를 없어요. 그래서 프로그램이 끝나면 다음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전까진 휴가를 몰아서 갈 수 있어요. 그 점은 장점이죠.

Q. 이번엔 ‘언니는 살아있다’에 이어 ‘사랑의 온도’를 바로 들어가게 됐으니 휴가를 못 가게 됐겠네요.
허정필:
그래서 ‘사랑의 온도’가 끝나면 2주 간의 휴가를 가려 해요. 쉴 땐 제대로 쉴 수 있어서 좋지만, 규칙적인 생활과 비교해보면 좋지만은 않아요. 남들이 못 하는 걸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남들이 누리는 걸 못 누리는 단점이 있죠. 규칙적인 생활이 아니어서 미리 계획을 못 세우거든요. 휴가를 가도 휴대전화를 꺼놓지 않아야 하고요. 그래도 미술에 도움 되는 영화가 나오면 단체로 영화 관람이 가능하기도 하는 등 좋은 점이 있어요. 단점은 야근을 정말 많이 해야 하고 휴일에 제대로 못 쉰다는 거예요.

Q. 일을 시작한 최초의 계기가 궁금해요. 일반인들에게 흔하게 알려진 직업은 아니지 않나요.
허정필:
순수 미술을 전공했는데 진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었어요. 그러다 지인에게 방송국 무대 디자인이라는 일이 있다는 걸 접하게 됐어요. 그래서 1년여 동안의 준비를 거쳐 수시채용에 통과했죠. 2002년 8월에 입사를 했어요. 그 뒤에 선배 밑에서 실무를 접하며 배우면서 서브 디자이너로 일을 하다가 입사 7년차부터 드라마에 입문하게 됐어요. 그 전에는 ‘인기가요’도 하고 ‘가요대전’도 했었어요.
SBS A&T는 KBS, MBC 쪽과는 다르게 예능과 교양 같은 비드라마와 드라마 부문을 나누지 않고 다 하거든요. 그래서 예능에서의 감각을 드라마에도 접목시키고, 드라마 동선 구성력과 공간감을 예능에 접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Q. 신입으로서 진입장벽이 클 것 같아요.
허정필:
쉽지만은 않아요. 숙련되기까지 기간이 꽤 필요하거든요. 연출부와 협의를 할 때의 기술도 필요하고요. 유연한 자세와 융통성 있는 사고력, 성품이 요구돼요. 그런 게 없으면 계속 부딪히게 되니까요.

Q. 베테랑으로서 세트 디자인을 꿈꾸는 이들에게 조언을 해주세요.
허정필:
이 분야에 관심이 있고 진로를 찾는다면 방송 유사 관련 학과에 진학하는 걸 추천해요. 저는 무대 디자인이라는 직업이 있는지도 몰랐는데, 그 직업을 알고 전문적으로 기초를 배우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영상물이나 무대 관련 공연, 포럼이나 뉴스, 콘서트 무대 등에 관심을 가져도 좋고요. 관련 학과를 통해 산업체에서 직접 연수를 받아보면 진로 설정에 더욱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김예슬 기자 yeye@etoday.co.kr
저작권자 © 비즈엔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bizenter.co.kr

실시간 관심기사

댓글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